[뉴스초점] '디지털 권리장전' 선포…AI시대 디지털 질서 정립<br /><br /><br />인공지능, AI 시대를 맞아 AI 활용 방안과 규범을 어떻게 정할지를 놓고, 전세계에서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중인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도 디지털 권리장전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또, 관심사항이죠. 우주항공청 설립 역시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님 모시고 관련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지난 9월 25일 전세계에서는 가장 빠를 것으로 보이는데,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했습니다.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경험과 철학이 담겼다는데, 어떤 내용들이 들어 있습니까?<br /><br /> 영국에서는 'AI 7대 원칙'을 발표했고요. 미국에서도 빅테크 CEO들과 토론회를 열어 방안을 논의하는 등 주요국 정부에서 'AI 가이드라인'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이 활발하죠. 한국의 디지털 권리장전이 상대적으로 가지는 차별점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디지털 분야에서 한국이 규칙을 만들고 읶는 역할을 담당하려면, 일반 이용자와 국내외 기업, 국제사회가 디지털 권리장전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도록 하는 일이 앞으로 가장 큰 과제일 것 같습니다. 어떤 식으로 이 과제를 해결해가실 건가요?<br /><br /> AI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위협이 되면 안된다고 디지털 권리장전에 명시되어 있습니다. AI 오남용, 가짜뉴스 확산 등이 막아야 할 과제일 텐데, 앞으로 규제 시스템은 어떻게 개선해 나가실 건가요?<br /><br /> 추석 전에 국제 원자력기구 IAEA 총회에 한국 수석대표로 참석하셨습니다. 후쿠시마 오염수 2차 방류가 시작됐는데, 국민들의 걱정이 여전한데요. IAEA에 가셔서 어떤 말씀을 나누셨나요?<br /><br /> 국회 안건조정위원회에 상정된 우주항공청법 검토가 막바지 단계로 알고 있는데요. 앞으로 우주항공청의 성공적인 개청을 위해 과기정통부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신가요?<br /><br /> 정부 연구개발, R&D 예산이 대폭 삭감되면서 과학기술계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. R&D 비효율 개선에 일부 공감하면서도 국가 성장동력 확보에 차질이 생겼다는 시선이 우려가 짙습니다. 2024년 정부 R&D 예산이 삭감된 근본적 이유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R&D 예산에서 비효율이 드러났다고 하셨는데,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결할 계획입니까?<br /><br /> 과학기술계의 반대 목소리가 상당한데, 장관님께서 어떤 방식으로 소통을 이어가실지 궁금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